티스토리 뷰
목차
중소벤처기업부는 제조업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요 지원금 종류와 함께 혁신 바우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중소벤처기업부의 제조업 지원금 종류
- 혁신 바우처 지원금: 중소 제조업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술, 컨설팅, 마케팅을 패키지로 지원
- 소상공인 정책자금: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과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한 저금리 대출
- 기술개발 지원: 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 비용을 지원하여 기술 혁신 촉진
-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제조업체의 스마트공장 도입 및 운영 비용 지원
- 창업 및 초기기업 지원: 제조 스타트업의 창업 자금과 성장 지원
2. 혁신 바우처란?
혁신 바우처는 중소 제조업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기술 개발, 마케팅, 컨설팅 등을 패키지로 지원합니다. 최근 3년 평균 매출액 120억 원 이하의 제조업 소기업이 대상이며, 매출액에 따라 정부 지원 비율은 3억 원 이하 85%, 3억 초과~10억 이하 75%, 10억 초과~50억 이하 65%, 50억 초과~120억 이하 45%입니다. 주요 지원 항목은 기술개발 컨설팅(연구개발, 공정 개선), 마케팅 지원(브랜드 개발, 홍보 전략),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등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소기업의 기술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돕습니다.
3. 지원 대상
제조업 소기업으로 최근 3년 평균 매출액 120억 원 이하, 중소기업기본법에 따른 매출 및 상시 근로자 요건 충족 필요. 사행성, 금융업 등 제외 업종 제외. 신용평가 기준 이상 및 세금 체납 없어야 하며, 사업 계획서를 통해 기술 혁신 가능성을 입증할 경우 지원 가능합니다.
- 대상: 제조업 소기업으로 매출액 120억 원 이하.
- 기준: 중소기업기본법의 매출, 상시 근로자 수 요건 충족.
- 제외 업종: 일부 사행성 및 비제조업.
- 기타 조건: 신용평가 기준 및 세금 체납 여부 확인.
1) 최근 3년 평균 매출액 120억 원 이하의 제조업 소기업
- 지원 대상은 중소기업기본법에 따라 정의된 소기업으로, 최근 3년 평균 매출액이 120억 원 이하인 제조업체가 해당됩니다.
- 이는 매출 규모에 따라 차등 지원을 적용하여 상대적으로 소규모 기업이 더 높은 지원 비율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매출 기준은 기업의 재무제표 또는 세무신고서를 통해 확인되며, 매출액 증빙 자료는 반드시 제출해야 합니다.
2) 중소기업기본법에 따라 정의된 중소기업
- 중소기업기본법에 따르면, 업종별 상시 근로자 수와 매출액 기준으로 중소기업이 정의됩니다.
- 제조업의 경우 상시 근로자 수가 10인 이상 300인 미만이어야 하며, 매출액 기준은 120억 원 이하로 제한됩니다.
- 중소기업 확인서는 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에서 발급받아 제출해야 하며, 인증된 중소기업만 지원 가능 대상에 포함됩니다.
3) 업종 제한 사항
- 지원 대상은 제조업에 국한되며, 일부 제외 업종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행성 업종, 금융업, 부동산업 등은 제외될 수 있습니다.
- 업종 확인은 사업자등록증에 기재된 표준산업분류코드와 함께 이루어집니다.

4) 추가 자격 조건
- 혁신 바우처 지원사업 신청 시, 신청 기업은 신용평가 등급이 일정 기준 이상이어야 하며, 국세 및 지방세 체납이 없어야 합니다.
- 신규 창업 기업이라도 매출액이 없더라도 사업 계획서를 통해 기술 혁신 가능성을 입증하면 지원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위의 조건을 충족하면 혁신 바우처 지원사업 신청 자격을 갖추게 됩니다.
4. 지원 비율
지원 비율은 기업의 최근 3년 평균 매출액 규모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이를 통해 소규모 제조업체가 더 높은 비율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아래는 지원 비율의 상세 기준입니다.
매출액 | 정부 지원 비율 | 자기부담 |
3억 원 이하 | 85% | 15% |
3억 원 초과 ~ 10억 원 이하 | 75% | 25% |
10억 원 초과 ~ 50억 원 이하 | 65% | 35% |
50억 원 초과 ~ 120억 원 이하 | 45% | 55% |
1) 매출액 기준
- 지원 비율은 최근 3년 동안 기업의 평균 매출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 예를 들어, 매출액이 8억 원인 기업은 정부가 전체 비용의 75%를 지원하며, 나머지 25%는 기업이 자부담합니다.
2) 자부담 비율
- 기업은 정부 지원 외에 나머지 비용을 자부담으로 충당해야 합니다.
- 자부담 금액은 현금으로 납부해야 하며, 일부 사업에서는 현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3) 지원 한도
- 지원 한도는 사업별로 설정됩니다. 혁신 바우처 지원사업의 경우, 기업당 연간 최대 5,000만 원까지 지원 가능하며, 총 지원 금액은 사업 조건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4) 예시
- 매출 2억 원 기업: 총 사업비가 1,000만 원이면, 850만 원(85%)은 정부 지원, 150만 원(15%)은 기업 자부담.
- 매출 15억 원 기업: 총 사업비가 2,000만 원이면, 1,300만 원(65%)은 정부 지원, 700만 원(35%)은 기업 자부담.
5) 정리
- 혁신 바우처 지원사업의 지원 비율은 매출 규모가 작을수록 높아지는 구조로, 소규모 제조업체에 더 큰 혜택을 제공합니다.
- 기업은 자신의 매출 규모에 따라 지원 비율과 자부담 금액을 정확히 계산한 후 신청을 준비해야 합니다.
5. 지원 항목
혁신 바우처는 중소 제조업체의 경쟁력 강화와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다양한 항목에 대해 지원합니다. 지원 항목은 주로 기술개발 컨설팅, 마케팅 지원, 전문 인력 교육으로 구성되며,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술개발 컨설팅
† 목적: 제조업체가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생산 공정을 효율화하도록 지원.
† 주요 내용
- 연구개발(R&D) 컨설팅: 신기술 개발, 기존 제품 개선, 신규 제품 설계 및 개발 지원.
- 생산공정 개선: 제조 공정의 자동화, 스마트공장 도입, 품질 관리 및 불량률 감소를 위한 전략 수립.
- 기술 인증 지원: 제품 인증(ISO, CE 등) 취득 및 관리 체계 개선.
† 예시
- 기존 생산라인의 자동화 장비 도입 컨설팅.
- 신제품 출시를 위한 기술 표준화 지원.

2) 마케팅 지원
† 목적: 제조업체의 브랜드 인지도 향상과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원.
† 주요 내용:
- 브랜드 개발 및 관리: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 구축 및 개선.
- 홍보 전략 수립: 국내외 마케팅 계획 수립 및 광고 지원.
- 시장 조사 및 판로 개척: 타겟 시장 분석, 신규 고객 발굴, B2B 및 B2C 판로 확대.
- 온라인 마케팅: 기업 웹사이트, 소셜미디어, 전자상거래 플랫폼 활용 전략.
† 예시
- 중소기업이 자사 브랜드를 새롭게 디자인하거나, 새로운 제품 카탈로그 제작 지원.
- 해외 전시회 참가 지원으로 신규 바이어 발굴.

3) 전문 인력 교육
† 목적: 제조업체의 인적 자원 역량을 강화하고 기술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지원.
† 주요 내용
- 기술 교육: 첨단 기술, 공정 관리, 제품 설계 관련 교육.
- 경영 및 마케팅 교육: 효율적 사업 운영 및 시장 확대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 직무 맞춤형 교육: 직무에 특화된 전문 인력 양성.
- 디지털 전환 교육: 스마트 제조 기술, AI 및 데이터 분석 관련 역량 강화.
† 예시
- 생산공정 자동화와 관련된 기술 교육을 통해 현장 직원들의 역량 강화.
- 신입 직원을 대상으로 제조업 경영 및 품질관리 교육 제공.

4) 지원 항목별 기대 효과
- 기술개발 컨설팅: 제조 공정 효율화와 품질 개선으로 생산성 향상.
- 마케팅 지원: 브랜드 가치 증대와 국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
- 전문 인력 교육: 기술과 경영 역량 강화로 기업 내부 역량 향상
혁신 바우처는 중소 제조업체의 성장을 다방면에서 지원하며, 기술, 마케팅, 인적 자원 강화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기업은 각 항목에 적합한 계획을 수립해 지원금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6. 마무리
중소벤처기업부의 혁신 바우처는 제조업 소기업의 성장을 돕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기술 혁신과 마케팅 역량을 강화하여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니, 자격 요건을 확인하고 신청을 준비해 보세요!